핫게 실시간 커뮤니티 인기글
종합 (4176053)  썸네일on   다크모드 on
시스프리.. | 24/06/28 18:09 | 추천 11 | 조회 58

누리호 발사체에 주변국이 별 말이 없는 이유 +58 [7]

루리웹 원문링크 https://m.ruliweb.com/best/board/300143/read/66655456

가끔 북한의 미사일(자칭 발사체)에는 각국이 뒤집어 지면서


같은 지역의 한국의 발사체에는 항의 없다는 부분에 의문을 품는 사람들이 있음


발사체 = 군사 기술 이라고 하면서 저렇게 반응이 다른 이유는


국가의 신뢰도 문제도 있지만 들어가는 기술이 좀 다르기 때문임


img/21/02/13/177999758f490de7.png


한국의 발사체 연료는 케로신(등유) 임


안전성도 좋고 저렴해서 써먹기 좋지만 산화제하고 같이 보관하는 게 어려움


극저온은 아니지만 영하의 저온 유지가 필요하며 발사 직전에 주입을 해야 함


연료 넣고 발사체(미사일)를 보관하는 게 불가능은 아니지만


보관 시 들어가는 비용이 엄엄엄청남


소련, 미국에서 미사일 초창기에 케로신 기반으로 만들고 운용하다 포기했을 정도임 



보관이 어렵고 발사 수 시간 전에 연료 충전에 엄청난 비용이 들어가는 기술로 미사일을 만들 바보가 없다는 것


img/21/02/13/17799a3e58290de7.jpg

 

반대로 북한의 발사체(미사일)의 연료는 하이드로진이라는 연료임


보관 시 저온으로 보관할 필요가 없어


상대적으로 큰 비용 없이 보관이 가능함, 힘도 아주 좋음


단 냄새로도 사람의 폐를 녹이고 오작동 시 일대를 작살 낼 정도로 더러운 연료임 



버튼을 누르면 바로 튀어나가는 마시일에 적합함


단 힘이 좋아서 우주 탐사에서는 자주 사용하는 연료라 이거 쓴다고 무조건 미사일은 아님


하지만 하이드로진을 사용하는 나라가 북한이면 누가 그걸 신뢰하겠냐는 문제가 생김


img/21/10/20/17c99180aa790de7.jpg

추가적으로 요즘 미사일은 하이드로진의 위험성 때문에 기술력있는 나라에서는 고체 연료 미사일을 씀


게다가 한국은 고체 연료 미사일 발사에 성공한 나라거든


그런 이유로 한국에서 누리호 기반의 ICBM 만들 가능성은 0% 임 ...


[신고하기]

댓글(7)

이전글 목록 다음글

1112 13 14 15
    
제목 내용